오는 3월 5일은 제1회 전국 동시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선거관리위원회 의무 위탁 선거로 치러진다. 제1회 전국 동시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일정을 보면 예비후보 등록 2025년 1월 21일부터 2월 17일까지며, 본 후보 등록은 2025년 2월 18일과 19일이고, 선거운동 기간은 2025년 2월 20일부터 3월 4일까지다.
후보자의 자격은 금고에서 4년 이상 상근 임원으로 근무 한자, 금고에서 6년 이상 임원으로 근무 한자, 금고나 중앙회에서 10년 이상 근무 한자, 금고 금융 관련 국가. 교육기관 10년 이상 근무자, 새마을금고의 업무에 대해 전문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력 요건을 갖춘 자,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은 자이다. 당해 소속 금고에 선거권을 가진 자는 금고에 출자하여 회원으로 요건을 갖추고 결격사유가 없는 금고 회원이다.
이전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선거를 치르는 과정에서 후보자에 대한 정보 부족과 함께 후보자·유권자 모두 금품수수의 유혹에 노출되기 쉬웠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없애기 위해, 선거의 공정성을 담보하고 선거인(금고 회원)들에게 공평하고 투명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새마을금고는 이사장 선거를 선거관리위원회에 위탁하게 됐다. 신뢰와 경영혁신의 새로운 기회인 이번 전국 동시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대내외적으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새마을금고가 대표적 서민금융기관으로서 회원들로부터 믿음을 받을 수 있는 투명하고 합리적인 정책들이 실행되고 그로 인한 혜택이 고스란히 회원들에게 돌아가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능력으로 회원들의 요구를 폭넓게 수용할 수 있는 이사장을 선출하는 일은 너무나도 중요한 일이다.
정책선거란 ‘선거에 임하는 후보자가 선거 공약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와 이행 방법, 이행 기간 등을 유권자인 회원들에게 발표함으로써 회원들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선거’를 말하는데, 정책선거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후보자의 구체적인 정책 제시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회원들의 철저한 관심이 아주 중요하다.
따라서 새마을금고가 주최하는 공개행사에 참석하여 후보자들의 소견과 정책을 살펴보고 선거공보나 선거 벽보 등을 통해 후보자들의 사람됨과 전문성, 투명성 등을 확인해야 한다.정책선거를 위해 서로가 노력할 때 새마을금고는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를 통해 얻으려는 ‘공정 선거를 통한 경영혁신’을 이루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아울러 위탁 선거를 맡은 선거관리위원회는 품격 있는 법 집행으로 ‘이사장 선거는 돈 선거’라는 수치스러운 매수 행위 등 모든 선거 부정을 근절하고, 섬세한 관리 감독으로 투표와 개표의 투명성과 정확성을 확보해야 한다.
후보자에게는 자유롭고 능동적인 선거운동을 할 수 있게, 회원들에게는 정보 공개의 확대와 투표권 확대에 노력을 다해야 한다. 지난 시절 우리에게는 부끄러운 선거의 역사가 있었던 때도 있었다.
그러나 우리 국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철학과 인식이 고양되고, 경제가 선진국의 위치로 올라섬으로써 올바른 선거에 대한 인식 변화도 크게 나아졌다.그러나 아직도 곳곳에서 당선만을 위한 불법이 비밀리에 이루어지고 있는 듯하다.
이번 선거는 후보자들의 공정한 준법, 유권자(회원)들의 철저한 관심, 선거관리위원회의 투명한 관리, 이 3요소가 현명하고 조화롭게 진행되어 2025년 3월 5일 제1회 전국 동시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좋은 끝맺음을 이룩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전국에는 동시 새마을 금고 이사장 선거를 하는 금고는 1,282개이며 광주 · 전남의 새마을금고 수는 98개이다. 새마을 금고 이사장 선거가 학연, 지연, 혈연, 금품의 고질적인 부정 선거의 유혹을 떠나서, 실력과 능력을 갖춘 후보를 선출하는 선거가 되게 해야 한다 ./정기연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