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사 화재는 전라남도에서 매년 일어나고 피해가 큰 대형 재난 중 하나다.
축사 화재는 한번 발생하면 축사 건물은 물론 수백~수천 마리의 가축이 폐사하고 심하면 인명피해까지도 발생하는 위험한 사고다. 축사는 가축의 보온을 위한 난방기구 사용하고 먼지가 많은 환경에 노출돼 있어 화재 위험이 높다. 한번 화재가 발생하면 복잡한 내부구조로 인해 급격히 확대되고 진화는 힘들다. 따라서 축사 화재는 예방이 중요하며 신속한 대응계획이 필수적이다.
먼저 축사 화재 예방법으로는 다음이 있다.
첫째, 전기 설비 관리다. 축사 화재는 주요 원인 중 전기적 요인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노후되거나 손상된 전선은 즉시 교체하고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 누전차단기의 작동 여부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며 전기 안전점검을 전문가에게 주기적으로 의뢰하는 것도 중요하다.
둘째, 난방ㆍ보온기구 관리다. 겨울철에는 난방기구 사용이 필수적이지만 축사 내 가연물(건초, 사료 등)과의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난방기구 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과열 방지 장치가 있는 제품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난방기구를 청소하고 점검해 과열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는 게 중요하다.
셋째, 가연물 관리다. 건초나 사료, 톱밥 등 가연물은 축사 내부가 아닌 별도의 안전한 장소에 분리해 보관하도록 한다. 또한 축사 내부에 쌓이는 먼지나 거미줄은 전기 스파크나 난방기구의 열에 의해 쉽게 발화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게 좋다.
넷째, 소방시설 설치ㆍ유지다. 축사 규모에 맞는 소화기를 비치하고 소화기 사용법을 항상 숙지해야 한다. 규모에 따라 자동화재탐지설비나 스프링클러 등의 소방시설을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해 유사시 항상 작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화재 예방에 힘썼음에도 화재가 발생했다면 당황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 단계별 대응 방법을 말해보겠다.
첫째, 즉시 119에 신고하고 정확한 축사 위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둘째, 축사 시설 내 인명 대피를 최우선으로 한다. 그 후 소화기나 물을 이용해 초기 진화를 시도한다. 불길이 거세면 유독가스 또한 많이 발생하므로 즉시 대피해야 한다.
셋째, 가축은 중요한 자산이므로 가축을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켜야 한다. 평소에 화재가 났을 때 가축을 어떻게 대피시킬 것인지 대피로를 확보해 놓고 가축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 해 놓는게 좋겠다.
축사 화재는 평소의 관심과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유사시를 대비한 준비만이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다. 올바른 예방수칙 준수와 신속한 대응 훈련으로 안전한 축사를 만들어 나갔으면 한다./장안식 신안소방서 지도119안전센터 소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