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심과 애향심을 기르는 추석 명절

전광투데이 승인 2022.09.06 17:41 의견 0


농경문화에 뿌리를 둔 우리 민족은 대부분 조상이 농촌에서 살았고 지금은 도시에 살지만, 부모는 고향인 농촌에 사는 사람이 많다. 자녀는 부모 사랑의 도움을 받고 자랐으며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려는 마음이 효심이고 이를 실천하는 것이 효도다. 명절 때 고향을 찾아 민족이 대 이동하는 것은 효심과 애향심 때문이다.
추석 한가위 명절은 우리 민족의 대명절이다. 해마다 추석이 되면 귀향하는 사람들로 민족의 대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농경문화에 뿌리를 둔 우리 민족은 대부분 조상의 고향이 농촌이고 농촌에서 자라고 성장해 산업사회가 되면서 도시로 진출해 살고 있다. 해마다 추석 명절이 되면 고속도로가 차량 행렬로 막혀 평소보다 3~4배의 시간을 소비해서 귀향하고 있다.
고향에는 노부모가 계시기도 하지만 조상의 묘소에 성묘하려고 귀향하고 있고 고향에서 일가친척을 만나고 정을 나누는 기회가 되기도 하며 전래풍습에 의한 추석의 전통 놀이를 고향에서 즐기기도 한다. 농경문화는 계절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하며 농사는 농부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하게 대처해야 하며 이러한 일을 도와주시는 것이 조상이며 하느님이라고 믿어왔기 때문에 추석날은 새로 거둔 햅쌀과 햇과일로 차례상을 차리고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는 제사를 지내는 것이 우리 민족의 전통적 풍속이다.
추석 명절은 우리의 전통적인 효 문화의 큰 맥을 이루는 행사다. 추석날이 되기 전에 조상의 묘소에 벌초하고 차례상 차리기 위한 음식 준비를 하는데 차례상에 올릴 과일이나 생선은 가장 좋은 것을 보관했다가 제상에 올리게 된다. 따라서 제사 음식 준비를 하는 것은 조상에 대한 효심에서 우러난 정성이다. 정성을 다해 준비한 제사음식은 차례를 지낸 후 자손들이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며 같이 먹는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큼 풍요로워라.'라는 이 말은 풍요로움에 대한 만족을 말하고 있다. 추석이란 성숙과 결실, 풍요를 상징하기도 했기에 궁핍하기만 했든 그 시절엔 '하루하루가 추석만 같아라!' 했을 것이다.
추석(秋夕)의 유래는 신라 시대 길쌈놀이인 가배란 별칭에서 유래한 것으로 세월이 지나면서 가위로 변했고 예기(禮記)의 춘조월 추석월(春朝月 秋夕月:봄엔 아침 달, 가을엔 저녁 달)에서 추석이란 말이 나왔다고 하고, 가을의 한가운데라고 해서 중추(中秋)요, 가을이 한창때 명절이라고 해서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 한다. 추석은 음력 8월 15일로 한가위라고도 하는데 '한'이라는 말은 '크다'라는 뜻이고, '가위'라는 말은 '가운데'라는 뜻을 가진 옛말로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로 설과 단오와 함께 우리나라의 3대 명절의 하나로써 농경문화의 사회에서는 가장 큰 명절이었다.
올해의 농사는 제11호 태풍 ‘힌남노’ 태풍피해와 수해를 이겨내는 어려운 농사였다. 연어 떼가 사력을 다해 태어난 곳을 찾아 이동하는 모천회귀(母川回歸)처럼 인간에게도 이런 본능이 있다. 자신이 태어나 자란 곳인 고향에 대한 향수(鄕愁) 본능이다. 한가위 명절을 맞아 도로가 정체되고 석윳값이 올라도 기를 쓰고 고향을 찾아가는 데에는 이런 향수 본능이 밑바닥에 깔렸다.
추석 때 고향을 찾는 것은 우리 민족의 고향을 찾는 효심의 이동이며, 즐거움의 이동이며, 애향심의 이동이며, 활력을 충전하기 위한 이동이다. 추석 명절 때 우리가 할 일은 나에게도 부모와 조상이 있고 일가친척이 있으며 고향이 있음을 직접 보고 듣고 배우면서, 내가 무엇을 할 것인가의 부모 조상과 고향에 대한 할 일을 알아보는 계기가 되는 추석 한가위 명절이 되어야 한다.
고향에 갈 때 선물을 가지고 갔는데 돌아올 때는 고향에서 얻는 물적 심적인 선물을 가득 안고 다시 일터로 향하는 귀경길에 오르게 된다. 추석 명절은 우리 민족에게 효심과 애향심을 심어주고 활력을 충전해주는 명절로서, 다른 민족에게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우리 민족의 자랑스러운 명절로 자리를 잡아 가야 할 것이다 /정기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광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