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하면 풍차를 상징하리만큼 바람을 이용해 풍차가 돌게하고 그의 힘으로 물을 뿜어내게 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국토의 26%가 바다보다 낮은 저지대 땅이며 물을 뿜어 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데 네덜란드의 풍차는 네덜란드의 경관을 이루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산의 면적은 전 국토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에서는 물이 흘러내려 계곡을 이루고 있으며 계곡의 물이 모여 강을 이루고 있다. 강물의 위지 에너지를 이용해 수력발전을 하고 있는데 세계에서 수력발전이 가장 많은 나라는 중국이며 이어서 브라질과 캐나다. 한반도에서 가장 큰 수력발전소는 압록강의 수풍댐이며, 남한에서 큰 수력발전은 한강과 낙동강에 있는데 가장 큰 수력발전소는 충주댐 수력발전소이다.
자연에서 물의 순환은 수증기 빗물 강물 바닷물로 변하고 동식물은 물을 이용해 생존하며 사는데 물의 순환은 빗물에서 위치 에너지를 만들고 있으며 위치 에너지를 이용해 수력발전을 하고 있고 물레방아가 돌게 한다. 물은 위치에 따라 크고 작은 위치 에너지를 품고 있는데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한 방앗간이 물레방아 방앗간이다. 산에서 흐르는 물은 위치 에너지를 품고 있는데 이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고 그냥 흘려보내고 있다.
필자는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해 정적인 환경을 동적인 환경으로 바꾸자는 제안을 하고 있으며 몸소 고향인 무안군 몽탄면 사천리에 산 계곡에서 흐르는 물로 물레방아를 설치했고, 샘에서 흘러나오는 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해 물레방아를 설치했으며, 저수지 용수로의 높이에 따른 물 위치 에너지를 이용해 물레방아를 설치해 선을 보인다.
이러한 물레방아는 자연수로 돌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돌리면 전기에너지로 바꿀 수 있으며 이것을 다시 운동에너지로 바꾸면 소규모 방앗간을 이용하게 되며 빛 에너지로 바꾸면 밤에 전등으로 쓸 수 있다.
물은 위치 에너지를 품고 있으나 이것을 이용하지 않고 있는데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해 물레방아를 설치해 동적인 환경을 만들고 그 에너지를 이용했으면 한다.
산이 많은 우리나라는 물이 흐르는 계곡이 많으며 계곡에서 흐르는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면 환경이 동적 환경으로 바꾸고 활력 있는 환경이 되므로 지자체는 지역 환경을 검토하여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지역의 새로운 변화를 이루었으면 한다. 물레방아가 돌고 있는 아름다운 대한민국의 농촌 풍경을 만들었으면 한다.
산이 많은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서 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는 시설을 갖추면 태양광 에너지 이용처럼 친환경 에너지가 되며 풍차가 도는 네덜란드처럼 동네마다 계곡의 물 에너지를 이용한 물레방아를 설치 이용한다면 동적인 자연환경도 되고 에너지 이용도 되므로 검토하여 서둘러 실천했으면 한다. /정기연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