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지역 자치구가 발주한 관급공사 현장에서 근로자들의 임금 체불이 잇따르고 있다.
11일 광주 동구와 북구에 따르면 동구가 발주한 '늑동마을 일대 우·오수 분리 공사' 현장의 일용직 근로자 14명은 5천400여만원 상당 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
총공사비 6억2천여만원이 투입된 이 공사는 지난해 2월부터 시작돼 인근 68가구가 사용할 1.1㎞ 오수관을 새로 짓는 것이 골자다.
동구로부터 이 사업을 수주한 지역 소재 건설사는 직업소개소를 통해 일용직 근로자들을 현장에 투입했지만, 수년 전부터 이어진 경영난으로 임금을 제때 지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건설 경기 불황과 자잿값 상승이 겹치며 사업 수주 당시에도 임금 체불 관련 신고 10여건이 노동 당국에 접수돼 조사받는 중이었다고 동구는 설명했다.
추석을 한 달여 앞두고 임금을 받지 못한 일용직 근로자들은 최근 동구청을 찾아 생활고를 호소했다.
동구 관계자는 "임금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달라는 근로자들의 요청도 있었다"며 "당초 이 사업은 지난 6월 마무리 예정이었으나 공사가 지연되면서 건설사와의 계약 해지를 검토 중이다"고 말했다.
청사 노후화·협소한 사무 공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북구청 신관 건축공사 현장에서도 임금 체불이 이어지고 있다.
철근 콘크리트 공정을 맡은 하도급 업체는 7월분 노무비 1억4천여만원을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
공정이 대부분 마무리돼 건립 사업에 직접적인 차질은 없는 상태지만, 일용직 근로자 대부분이 제때 임금을 받지 못하며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북구는 사업을 따낸 건설사·하도급 업체·노동 당국과 임금을 지급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현재 논의 중인 방법은 간이대지급금 제도로, 지급 능력이 없는 하도급 업체의 신고를 받은 노동 당국이 근로자에게 임금을 우선 지급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근로자들은 1인당 최대 700만원을 받을 수 있고, 이후 노동 당국이 하도급 업체에 구상권을 청구해 변제받는다.
북구 관계자는 "하도급 업체의 경영난으로 당장 지급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 고용노동부 진정을 안내했다"며 "추석 전까지 7월분 임금이 일부라도 지급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신금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