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의 관세 협상 이후에도 고율 관세(50%)가 유지되는 철강산업 중심 도시들이 범정부 차원의 위기 대응을 촉구했다.
4일 전남 광양시에 따르면 광양시, 경북 포항시, 충남 당진시는 지난 3일 단체장 긴급 영상회의를 열어 대응책을 논의했다.
국내 조강 생산의 93%를 차지하는 지역들로 이강덕 포항시장, 김정완 광양부시장, 황침현 당진부시장이 참석했다.
이들은 철강이 한미 관세 협상 대상에서 제외돼 고율 관세가 지속되는 데 우려를 표했다.
세 도시는 대미 후속 협상을 통한 철강 품목 재논의, 포항에 이은 광양·당진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 확대 지정, 포항·광양·당진 고용위기 선제대응 지역 조기 지정, 'K-스틸(Steel)법'(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법) 조속 제정 등을 정부와 국회에 건의하기로 했다.
지자체, 기업, 상공회의소가 함께하는 국회 포럼을 열어 철강산업 생존 해법을 모색하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도 요청할 예정이다.
3개 지역 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철강산업 위기 상황 극복 방안 공동 건의문'을 기후에너지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 전달하기도 했다.
산업통상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 관계 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 장관회의에서 범용재 설비 축소, 수출 보증 상품 신설, 반덤핑 관세 조치 강화 등 철강 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신영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