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은 A·B사, C씨를 비롯한 17개 전문 암표업자(법인 3곳)를 대상으로 세무조사를 한다고 6일 밝혔다. 암표상을 상대로 기획 세무조사를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티켓거래 플랫폼 판매의 절반 가까운 거래를 독식하는 상위 1%, 400여명 중에서도 가장 탈루 혐의가 짙은 업자들이다.
안덕수 조사국장은 브리핑에서 “상위 1% 판매자의 연간 판매 건수를 크게 상회하는 전문 암표상 중에서도 탈루 혐의가 짙은 자들을 조사대상으로 했다”며 “공공기관 근무자 및 사립학교 교사를 포함해 기업형 암표업자에 이르기까지 총 17개 업자들”이라고 밝혔다.
모두 30대 중반 남성인 공공기관 종사자와 사립학교 교사는 각각 4억원과 3억원 이상의 부당소득을 올렸다고 안 국장은 설명했다.
이들 17개 업자가 신고누락한 암표 물량은 최소 22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국세청은 보고 있다.
가장 전형적인 수법은 입장권에 웃돈을 얹어 되파는 중고거래형으로, 중고거래 플랫폼 성장에 편승해 급격히 불어나고 있다는 게 국세청 설명이다. 이들은 수년간 4만건 이상 입장권을 되팔아 정가의 최대 30배의 폭리를 취했다.판매 내역이 드러나지 않도록 대금은 개인계좌로 수취하는 동시에 ‘판매 완료’ 처리하지 않은 채 관련 게시물을 삭제했다.
대리 티켓팅, 소위 ‘댈티’도 주요 수법이다. 대리 티켓팅 업자는 전문 노하우를 갖춘 조직적 사업체로 활동하며 고수익을 올리는 동시에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 혜택을 받는 사례까지 있다고 국세청은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