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시장과 심창욱 시의원이 21일 광주시의회에서 정면 충돌했다.
무소속 심창욱 의원이 시정질문에서 광주시정에 전반에 대해 '포퓰리즘' '회전문 인사' 등의 용어를 동원해 신랄하게 비판하자 민주당 소속인 강기정 시장이 "유감이다"며 공부 좀 하라는 식으로 반박했다.
심 의원은 "공무원 조직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승진 배제나 불이익을 우려해 회피하는 것은 아닌지 (직원들은) 돌아봐야 한다"고 지적했다며 "부당한 지시를 받으면 제보하라"고 촉구했다.
심 의원은 신양파크호텔 사업의 경우 369억원을 들여 부지를 매입한 뒤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해 연간 18억원의 이자가 지출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무등의 빛' 폴리 작품과 관련해서는 "반복적인 고장으로 점검·수리에만 현재까지 18억2천800만원이 소요됐다"며 "꼬리가 몸통을 흔드는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쓰레기 소각장 문제와 관련해 심 의원은 "주민 요구라는 이유로 잘 운영되던 상무소각장을 폐쇄한 뒤 가연성폐기물연료화시설(SRF) 분쟁과 삼거동 신규 소각시설 위장전입 수사 등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며 "대표적인 포퓰리즘 사례"라고 비판했다.
이 밖에도 전남·일신방직 부지 시공사 사업 포기, 미분양 아파트 증가, 산하·출자기관 평가 및 기관장 도덕성 문제 등을 지적했다.
특히 산하·출자기관을 부실하게 운영한 인사를 문화경제부시장으로 임명한 점과, 김광진 전 문화경제부시장이 글로벌광주방송 고액 출연료 논란에 이어 산하기관 임원추천위원회에 참여한 점을 문제 삼았다.
심 의원은 "이러한 인사 난맥상 때문에 '그 나물에 그 밥'이란 말이 나오고, '회전문 인사', '문고리 인사'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광주시의 인공지능(AI) 산업 추진에 대해서도 "민선 8기 4년 동안 이뤄놓은 게 거의 없는 것 같다"고 평가절하했다.
이에대해 강기정 시장은 "심 의원의 질의에는 유감스러운 대목이 여러 가지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강 시장은 "민선 8기에 부당한 지시가 있는 것처럼 이야기하고, Y 벨트 익사이팅존 사업에 비리가 있는 것처럼 질의한 것은 유감"이라며 "이 사업에 대해 수십 차례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음에도 반복적으로 의혹을 제기하는 것은 정치적 의도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공공기관 통폐합과 관련해서도 "시장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을 먼저 포기하면서 공공기관을 혁신했다"며 "특히 교통공사의 경우 공공요금을 억제해 직원들이 성과급이 깎였음에도 그 누구도 박수를 치지 않았다"고 항변했다.
AI 사업에 대해서도 "2019년에 머물러 있다는 것은 얼토당토않은 주장"이라며 "심 의원이 준비가 안 됐고, 공부가 안 돼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고 맞받았다.
이어 "광주 공동체가 잘되는 방향으로 잘못을 지적하는 것은 좋지만, 잘되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응원하는 모습도 필요하다"며 "AI 컴퓨팅센터 유치와 관련해 긴박한 상황이 있어 자리를 이석하겠다"고 말하고 회의장을 떠났다.
이에 심 의원은 "사전 통보 없이 시장이 본회의장을 떠나 유감"이라고 밝혔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날 오후 시정질의에 불참했으며, 김나윤 시의원은 이에 대해 날 선 비판을 쏟아냈다.
김 의원은 "2조2천억원 규모의 AI컴퓨팅센터 유치는 광주의 사활이 걸린 사업이기에 시장이 자리를 비운 사정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의회에 공식 요청이나 논의 없이 이석할 상황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2조2천억원 사업은 인터뷰에서 눈물로 호소한다고 급변하지 않는다"며 "시정질의는 시민에게 책임 있는 답변을 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인 만큼 책임 있는 행정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불법현수막 단속 조례가 제정돼 시행 중임에도, 지난 추석 연휴 기간 시가 광주시장 명의의 명절 현수막을 1천만원의 시비를 들여 게시한 점도 질타했다./신금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