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센터 공모사업 응모를 불과 닷새 앞둔 시점에서 광주시는 국내 유수 기업 1곳과 컨소시엄을 맺고 부지·용수·전력 기반 조성 준비를 마치는 등 막바지 유치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5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오는 20~21일 진행되는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공모 신청을 준비 중이다.
앞서 3곳 이상의 기업과 접촉한 광주시는 최종적으로 국내 대기업 1곳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다만 함께하는 기업의 명칭은 공모 신청 절차가 종료된 이후에 공개할 방침이다.
공모 신청은 민간기업이 주도하지만, 광주시는 유치의 필수 조건인 부지·용수·전력 확보를 물밑에서 준비해왔다.
이 가운데 부지는 첨단3지구 AI집적단지 5만㎡를 이미 확보했고, 하루 1천t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용수 확보 대책도 수립을 마쳤다.
아직 절차가 진행 중이지만 전력 기반 또한 타지역보다 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시는 국가 AI컴퓨팅센터의 초기 전력 40㎿는 물론, 5만 장까지 확장 시 필요한 120㎿의 전력도 공급이 가능하다는 '전력계통 영향평가 기술 분석자료'를 한국전력으로부터 제출받아 산업통상자원부 본 평가를 받을 계획이다.
데이터센터에는 안정성을 위해 전력망이 2개 회선으로 들어가야 한다.
광주 부지는 직선거리 100m에 첨단변전소가 있고, 약 8㎞ 인근에는 수완변전소도 자리 잡고 있다. 풍영정천을 따라 송전선로를 구축하면 빠르고 안정적인 전력망 확보가 가능하다는 점이 최대 장점으로 꼽힌다.
일각에서는 최근 SK하이닉스가 전남 해남에 오픈AI와 함께 데이터센터를 설립·운영하기로 하면서 광주가 소외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광주시는 "민간 주도인 전남과 국가 주도인 AI컴퓨팅센터는 역할과 기능이 다르다"며 정책상 충돌이 없는 별개 사업이라고 선을 그었다.
광주시 관계자는 "정부가 전국의 민간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AI 고속도로로 연결하겠다는 구상인 만큼, 민간 AI데이터센터가 전남에 들어서는 것과 국가 AI컴퓨팅센터를 모두 광주에 유치하는 것은 충돌하지 않는다"며 "국가 AI컴퓨팅센터 광주 구축은 대통령 공약 사안인 만큼 유치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은 정부와 민간이 공동 출자해 2027년까지 1엑사플롭스(EF)급 AI 데이터센터를 비수도권에 조성하는 대형 프로젝트로, 총사업비는 약 2조5천억원에 달한다./신금섭 기자